이전 단원(중2: 원소)에서 이온화 현상에 대해 공부했습니다. 또한 전기분해를 통해 원소를 분리해 냈습니다. 전기는 어디서 왔을까요? 우리는 마찰력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. 이렇게 이동된 전기는 다시 평형상태로 돌아가려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.(전압)
전압을 이용해서 회로(직렬, 병렬)를 를 구성하면 전류가 흐릅니다. 그리고 전류가 흐르는 도선의 주위에 자기장을 생성됩니다. 우리는 나침판으로 생성된 자기장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.
만약 이미 자기장이 형성되어 있다면, 전류가 흐르고 있는 도선은 생성된 자기장이 기존의 자기장에 순응하는 방향으로 힘이 발생합니다. 이 단원에서 전기적 성질에 대한 몇 가지 규칙에 대해서 알아봅니다.
마찰전기
이미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마찰을 일으키면 정전기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.
머리카락, 은박지, 검전기의 반응을 관찰한다.
결론: 마찰된 물체에서 끌어당기는 힘이 생성됩니다.
마찰전기가 발생한다는 사실은 분명히 밝혀졌지만 왜 발생하는지에 대한 사실은 2023년 열전기 충전효과에 대해서 입증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 (마찰전기는 마찰시 발생하는 열로인한 전기충전과 방전으로 설명 및 계산 할 수 있다
결론: 마찰된 물체는 전기력을 띕니다.
원자핵-전자 모델에서 이 현상을 설명 할 수 있는지 알아보아야 합니다. 검전기를 이용했을 때, 금속박이 떨어지는 이유는 전자가 이동했다고 가정합니다. 검전기의 양 은박직가 같은 극을 띄기 때문에 은박지가 벌어지고, 손으로 방전시켰을 때 다시 오므라드는 것은 기존의 원자핵-전자 모델이 수정될 필요가 없음을 시사합니다. 최초의 축전기는 라이덴병(Leyden jar)으로 알려져 있습니다(1745-1746).
- 대전(electrification): 물체가 전기를 띄는 현상
- 대전체(electrified body): 전기를 띄게 된 물체
- 인력(attraction): 당기는 힘
- 척력(repulsion, 반발력): 밀어내는 힘
회로
전하가 원래의 위치로 가려는 힘, 전기적 중성(평형)을 이루려는 힘을 전압(voltage)이라고 합니다. 전하가 방전 될 때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방전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. 이때 전하의 흐름을 전류(current)라고 합니다. 우리는 도선을 이용해서 방전 경로를 유도 할 수 있습니다. 이를 전기 회로(Electrical network, -circuit)라고 합니다. 회로는 전자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는 도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전자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저항(resistance)이라고 합니다.
옴의 법칙
저항의 앞과 뒤의 전압이 다릅니다. 그 말은 전류가 저항을 통과하면서 일을 했다는 의미가 됩니다.
V = IR
- V: 전압(voltage)
- I: 전류(current)
- R: 저항(resistance)
옴의 법칙의 의미는 전압이 같을 때(같은 베터리)에서, 저항이 크면 전류가 작고(소모가 작고), 저항이 작으면 전류가 크다(소모가 많다)가 됩니다. 실제로 여러 가전제품에서 전력량(P = IV )을 얼마나 많이 사용하는가에 따라 전기세를 납부해야 합니다. 저항을 연결하는 방식에는 직렬 연결(series circuit)과 병렬 연결(parallel circuit)이 존재합니다.
직렬연결 | 병렬연결 | |
---|---|---|
특징 | 전압에 문제가 있을 때, 다른 소자를 보호한다 | 다른 소자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. |
예 | 퓨즈, 누전차단기 | 가전제품 |
자기장
결론: 자석 실험에서 자석 주위에 자기장(magnetic field)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나침판의 N극은 S극에 끌리고, S극은 N극에 끌립니다. 따라서 자기장이 흐르는 방향을 N->S라고 정의하므로, 나침판에서 자기장의 방향은 S극 바늘이 가리키는 방향이 됩니다.
결과: 자석과 동일하게 철가루와 나침판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 결론: 전류가 흘러도 자기장이 발생한다.
로렌츠 힘
오른손 나선법칙(right-hand Thumb Rule)
전류의 방향을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하였을 때, 나머지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이 됩니다.
오른손 법칙(right-hand rule)
만약 도선에 이미 자기장이 존재한다면, 전류에 의해 새로 생성되는 자기장은 기존의 자기장에 순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됩니다. 통상적으로 양극(+)을 붉은색, 음극(-)을 검은색으로 표시, 사용합니다. 아래 예시에서 전류는 위에서 아래로, 모니터를 뚫고 나오는 방향으로 흐릅니다. 따라서 N/S(자석의 N극이 위에 있는) 상황에서 도선은 오른손 나선 법칙에 의해 아래로 흐르는 자기장이 왼쪽에 위치하려고 하고, 이런 이유에서 도선은 오른쪽으로 힘을 받게 됩니다.
- 중지 : F (Force, 힘)
- 검지 : B (magnetic field, 자속밀도), 멕스웰 방정식 유래(통념)
- 전류 : I (intensity of current, 전류)
이야깃거리
- 마찰전기 고찰(열전기 충전)
- TENG, 마찰전기발전기
- Youtube: 닿기만 하면 전기가 만들어지는 기술!? 마찰전기 나노발전기! [안될과학-긴급과학]
- 전기 실험과 역사: 전기와 자기는 어떻게 발견되었나? 전자기학 1편 (KAIST 김갑진 교수의 물리학 특강 4/8)
단어
No | 영어 | 국어 |
---|---|---|
1 | electrification | 대전 |
2 | electrified body | 대전체 |
3 | attraction | 인력 |
4 | repulsion | 척력, 반발력 |
5 | voltage | 전압 |
6 | current | 전류 |
7 | electrical network | 전기 회로 |
8 | resistance | 저항 |
9 | series circuit | 직렬 연결 |
10 | parallel circuit | 병렬 연결 |
11 | compass | 나침반 |
12 | right-hand thumb rule | 오른손 나선법칙 |
13 | right-hand rule | 오른손 법칙 |
14 | magnetic field | 자속밀도 |
퀴즈
- 마찰시키면 가 일어납니다.
- 정전기를 모아서 전구를 켤 수 있습니다. (, )
- 물체가 전기를 띄는 현상을 되었다고 합니다.
- 대전된 물체를 라고 합니다.
- 전기적 평형을 이루려는 힘을 이라고 합니다.
- 전하의 흐름을 라고 하고, 전자의 이동과 (, ) 방향입니다.
- 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입니다.
- 저항의 양 끝에서의 전압은 같습니다.(, )
- 저항의 연결은 연결과 연결이 있습니다.
- 연결은 하나의 소자가 끊어졌을 때, 다른 모든 소자의 동작이 멈춥니다.
- 자석 주위에는 이 생성됩니다.
-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도 이 생성됩니다.
-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자기장이 생성되는 방향은 으로 알 수 있습니다.
- 자기장에 노출된 전선은 전류가 흐를 때, 을 받습니다.
- 로렌츠 힘은 의 손가락 엄지, 검지, 중지를 수직으로 만들었을 때, 중지부터 에 대응합니다.